진주의 먼 훗날의 추억

새 카테고리3/괴산 46산

조령산 산행

jnju22 2014. 7. 17. 08:59

2014~7월~16일~수요일~날씨 넘~더운날~초아회원들과함께~

연이은 무더위다~~간만에  백두대간의 줄기 조령산으로 고고~~~~~

이화령부터 시작된산행  진녹색의 산야~어디선가 풀냄새가 코을애무해준다

살며시  잉크도해준 참나리꽃~이름모른 꽃들~~~

땀은 온몸을 감싸듯이 흠뻑젖지만 ~~~~~~녹색의 향연에 행복을 느끼며 ~

살랑살랑 불어오는 바람이 잠시 더위을 잊은채  한발씩 딛딘 긴산행~~~~~~~

함께한님들  감사하고 행복해어다고 바람결에 날려드립니다~~~~

산행시작~아침~8시45분~~하산~오후~~5시 50분~~~

 

코스~이화령~조령산~신선암봉~치마바위~깃대봉~문격새재~제3관문~제2관문~제1관문~관리사무소로 하산~~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과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경계에 있는 산 .

 

 

높이 1,017m. 소백산맥에 솟아 있으며, 주위에는 신선봉(神仙峯:967m)·주흘산(主屹山:1,106m) 등이 있다.

조령산과 신선봉의 안부에 해당하는 조령은 문경새재·새재라고도 부른다.

남쪽과 북쪽 산록에 있는 이화령(梨花嶺:548m)·소조령을 비롯하여 유명한 고개가 많다.

특히 문경새재라는 이름은 과거부터 영남사람들이 이 고개를 넘어 서울로 가는 주요관문이 되었던 것에서 비롯된다

동쪽에 조령천을 따라 조령 제1·2·3 관문이 있다. 또한 이곳에 박달나무가 많아 박달재라고도 불렀으며,

이곳 박달나무로 만든 홍두깨가 전국으로 판매되었다고 한다. 산정부는 평탄하나, 사방이 비교적 급경사이다.

특히 조령산을 중심으로 북쪽은 월악산·문수봉·소백산 등으로 이어지는 고봉이 연속되며,

남쪽은 속리산으로 이어져 차츰 낮아진다. 동서사면에는 조령천·쌍천의 지류가 각각 발원한다.

이화령-능선안부-샘터-정상-안부-신풍리, 정상-안부-한섬지기-수옥정폭포로 이어지는 등산 코스가 있다.

조령산을 중앙에 두고 도로가 둘러 나 있다.

 

 

 

 

 

 

 

 

 

 

 

 

 

 

 

 

 

 

 

 

 

 

 

 

 

 

 

 

 

 

조령산정상에서 잡아본 주흘산능선이 희미하게 보인다

 

 

 

 

 

 

 

 

 

 

 

 

 

 

신선암봉 배경으로 한컷

 

 

 

 

 

 

 

 

 

 

 

알릉구간시작이다  줄잡고 안전하게

 

 

스릴만점~

 

 

 

 

 

 

 

 

 

 

높이솟이있는 봉우리가 신선암봉  오늘가야할봉우리  웅장하다

 

 

 

 

 

조령산 정상에서 넘어온 능선 

 

 

 

 

 

 

 

 

 

 

 

 

 

 

 

 

 

 

 

 

 

 

 

 

 

 

 

 

 

 

 

 

 

 

 

 

 

 

 

 

 

 

 

 

 

 

 

 

 

 

 

 

 

 

 

 

 

 

 

 

 

 

 

 

 

 

 

 

 

 

 

 

 

 

 

 

폼이 좀 ~~~~어정쩡하구만 ㅋ

 

 

 

 

 

 

 

 

 

 

 

 

 

 

 

 

 

좁은 바위길 

 

 

 

 

 

 

 

 

 

 

 

 

 

 

 

 

 

 

 

 

 

 

 

 

 

 

 

 

 

 

 

 

넘어온 조령산 능선들 까마득하다

 

 

 

 

 

 

 

 

 

 

 

 

 

 

 

 

 

3관문앞에서

 

 

 

 

 

 

 

 

 

 

 

 

 

 

 

 

 

 

 

 

 

 

 

 

 

 

 

 

 

 

 

 

 

 

 

 

 

 

 

 

 

 

 

 

 

 

 

지름틀바위라는데  글쎄요

 

 

뒤로 보이는 능선이 주흘산 이란다

 

 

코스모스가 만발  계절도 모르고 핀 코스모스 

 

;